진뚝배기의 정보저장소

건축물대장

건축물을 구매할 예정이거나, 재건축을 해야 할 경우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건축물대장입니다. 

건축물대장에는 설정한 대지의 지번, 구조, 면적, 건폐율, 용적률, 용도 등 해당 건물의 정보 대부분이 나와 있기에, 관련된 업무를 하기 전에는 무적권! 확인해야 하는 서류 입니다. 저같은 경우에는 업무를 진행할 때 도 조회를 하기도 하지만, 학교를 다닐 때 설계 스튜디오를 진행하기 전에 사이트 확인용으로도 종종 조회하기도 했습니다 ㅎㅎ

그럼 오늘은 이 건축물대장을 어떻게 출력하고, 확인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1. 검색창에 '정부24 건축물대장' 을 입력 합니다.

초록창에 정부24 건축물대장 입력!

2. 웹사이트에 있는 '건출물대장 생성ㅣ민원안내 및 신청 을 클릭합니다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https://www.gov.kr/main?a=AA020InfoCappViewApp&HighCtgCD=A09005&CappBizCD=15000000092)

3. 오른쪽 위의 사람모양을 클릭하여 그림과 같이 회원가입 or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.

사람모양 클릭

 개인적으로 공인인증서 보다는 아이디 회원가입이 더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. 정부24 건축물대장을 조회하고 싶을 때마다 항상 공인인증서를 가지고 다니는것이 아니기 때문에, 아이디 가입이 더 매력적인거 같아요 ㅎ 저도 지금은 아이디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.

4. 정부 24 홈페이지로 돌아가 건축물대장 등/초본 발급(열람) 신청을 클릭 합니다.

건축물대장 등/초본 발급(열람) 신청을 클릭

5. 접속 후 가운데에 있는 '신청하기' 를 클릭합니다.

-수수료 항목이 적혀 있긴 하지만, 단순히 인터넷으로 발급하고 보기만 하는것은 '무료'이니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!-

6. 신청하기에 접속 후 건축물대장(발급) / 건축물대장(열람)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.

저는 단순히 열람만 할것이기에 건축물대장(열람)을 클릭 하였습니다.

7.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 건축물관리대장 등,초본 열람 신청에서 보고싶은 곳은 주소의 소재지를 입력합니다.

8. 검색을 눌러 창을 띄우고 주소를 입력하고, 선택 후 행정처리기관을 선택합니다. 마지막으로 민원신청을 누르면 끝!

이상으로 정부24 건축물대장 확인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. 가끔 민원신청하기를 누르면 결과가 뜨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. 이러한 경우 해결 방법은.

아래에 있는 일반(단독주택) / 집합(아파트,연립주택 등) 탭과 대장종류 총괄/일반 에서 

결과값이 뜰때까지 바꿔서 신청을 해주시면 됩니다.

ex) 1. 일반(단독주택)/일반 or 일반(단독주택)/총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2. 집합(아파트, 연립주택등)/일반 or 집합(아파트, 연립주택등)/총괄

이러한 방식으로 바꿔서 신청을 하시면 정부24 건축물대장 조회결과가 나오실 겁니다!

앞으로 업무나, 스튜디오 설계를 하실 때 정부24 건축물대장이 필요하신 경우 이 메뉴얼대로 조회하셔서 도움이 되셧으면 좋겠습니다!

이 글을 공유합시다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